알고보면 쓸모있는 [쉬운 경제, 사회 이슈](106)
-
추석 연휴 대형마트 휴무일 총정리 [이마트,홈플러스,코스트코,백화점,아울렛]
추석 연휴 대형마트 휴무일! [이마트,홈플러스,코스트코,백화점]을 안내합니다. 구분 추석 전날 (10/5, 일) 추석 당일 (10/6, 월) 추석 이후 (10/7~10/13) 비고 이마트정상 영업정상 영업 (부산 포함 전점 영업)10/13(월) 의무휴무단, 트레이더스 명지점은 10/6 휴점롯데마트정상 영업정상 영업 (부산 6개 전점 영업, 단 사하점만 휴점)10/13(월) 의무휴무전국 동일홈플러스정상 영업정상 영업 (부산 9개 중 장림점만 휴점)10/13(월) 의무휴무지점별 상이코스트코조기 폐점 (오후 7시 마감)전점 휴무10/12(일) 휴무 / 10/13(월) 정상 영업매월 2·4째 일요일 정기휴무 포함롯데백화점부산본점·동래점·광복점 휴무부산본점·동래점·광복점·센텀시티점 휴무센텀시티점..
2025.10.03 -
스마트스토어·이마트·쿠팡이츠 자주 쓰는 사람이면?! 신용카드 추천 2가지
신용카드 교체 시기가 되어, 신용카드를 좀 알아봅니다. 스마트스토어, 이마트, 쿠팡이츠 중심으로 쇼핑하고 배달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는 매달 일정한 소비 패턴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카드가 실제 할인으로 연결되는지 비교해봤습니다. 이마트를 한 달에 3회, 스마트 스토어 5회, 쿠팡 5회 이상, 한 달에 쿠팡 이츠 배달 등을 이용한다면, 어떤 카드가 좋을까? 1. 스마트스토어·이마트·쿠팡이츠 / 반복적인 소비 패턴 이마트를 한 달에 3회, 스마트 스토어 5회, 쿠팡 5회 이상, 한 달에 쿠팡 이츠 배달 등을 이용한다면, 총액 56만원을 쓴다는 가정으로 카드 비교 하기. 소비 항목 월 사용 횟수 1회 평균 금액 월 지출 총액 이마트 배송3회50,000원150,000원스마트스토어5회3..
2025.10.03 -
또 셧다운인데… 금·주식·코인이 급등? 시장이 ‘탐욕’으로 움직인 이유
2025년 미국 정부가 또 셧다운에 돌입했습니다. 그러나 시장 반응은 예상을 뒤엎었습니다. 금은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비트코인과 주식도 급등했습니다. 셧다운이 금리 인하 기대감을 자극하며, 자산 시장엔 오히려 '탐욕'의 기회가 된 것입니다. 반복된 정치 이벤트 속에서도 시장은 유동성을 따라 움직이고 있습니다.1. 셧다운, 또 시작됐다 미국 연방정부가 또다시 셧다운에 들어갔습니다. 2025년 10월 1일 0시, 예산안 처리 실패로 인해 비필수 정부 기능이 중단되는 셧다운이 공식 발효됐습니다. 미국의 회계연도 시작일(10월 1일)에 맞춰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이 제도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반복되어 왔습니다.하지만 이번 셧다운은 예년과는 결이 다릅니다. 백악관이 공공기관 해고 가능성..
2025.10.03 -
반려동물 장례 절차부터 비용까지, 유골처리·추모보석 완벽 가이드
갑작스럽게 떠나는 반려동물의 소식은 이제 더 이상 남 일처럼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처럼 깊은 관계를 맺은 반려동물과의 이별은 신중하게 준비되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장례 절차부터 비용, 유골 처리와 추모 보석까지, 반려동물 장례의 모든 것을 안내합니다. 장례를 치르지 않는다면 어떻게 되나요?반려동물의 죽음을 맞이했을 때, 당황한 보호자들은 매장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행법상 사체를 임의 장소에 묻는 행위는 「폐기물관리법」 위반으로 간주되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가장 사랑했던 존재를 존중하는 방법은 적법한 장례를 통해 이별을 마무리하는 것입니다. 반려동물 장례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장례 절차는 대개 다음과 같은 흐름을 따릅니다. 고려해야 할 사항도 구체적입니다. 장례 방식 선택과 법적 제..
2025.10.02 -
회사직원 결혼 축의금, 이렇게 정하자: 참석 10만 원 · 불참 5만 원
[결혼 서비스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이 6만원으로 오르는 등 전체 결혼 평균 비용이 두 달 전보다 4% 넘게 뛰었다는 기사] 결혼식 식대는 이제 전국 평균 6만 원을 넘어섰고, 서울 강남 기준으로는 1인당 8만8천 원까지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회사 동료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참석 시 10만 원, 불참 시 5만 원으로 딱 정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입니다. 결혼식 5만원 내고 참석하면, 본전 맞추려면 필요한 하객수, 결혼식 10만원 내고 참석하면, 본전 맞추려면 필요한 하객수, 결혼식 안가고 5만원만 내면, 본전 맞추려면 필요한 하객수 비교해보고 정해보는, “딱 잘라 정해주는 축의금 가이드 + 현실적인 식대 반영 + 결혼 문화에 대한 생각”..
2025.10.01 -
2025년 입국 시 주류 반입 기준: 병 수 제한 폐지, 소용량 술 다양하게 담아오세요
2025년 항공편 주류 반입 기준 변화: 병 수 → 용량 중심으로 바뀐 이유2025년부터 해외여행 시 술을 구입해 한국으로 들어올 때의 규정이 병 수 제한에서 총 용량 기준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주류를 최대 2병까지만 면세로 반입 가능했으나, 이제는 총 2리터 이하라면 병 수에 상관없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375ml 병을 여러 개 사거나, 500ml 병을 조합해 총량이 2L를 넘지 않으면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와인 한 병 기준이 일반적으로 750ml이므로 여전히 현실적으로는 2병 이내로 제한되는 부분이 있지만, 용량 단위로 바뀌면서 작은 병 여러 개를 조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생긴 점은 환영할 만합니다. 인기 있는 375 mL 주류 제품 정리 제품명 종류용량 특징E..
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