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돕는 AI, 인포플라 No-code Vision AI의 정체

2025. 10. 28. 07:19알고보면 쓸모있는 [쉬운 경제, 사회 이슈]

AI 기술은 어렵고 비싸며, 전문가들만 다루는 영역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다릅니다. 코딩 한 줄 몰라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AI 모델을 만들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그게 바로 No-code Vision AI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현실적인 두 가지 사례를 소개합니다

1. No‑code 기반의 Vision AI, 플랫폼 어떤 기술일까? 

Infofla(인포플라)은 서울 소재 스타트업으로, “No‑code 기반의 Vision AI 플랫폼”을 선보였습니다 — “코딩 없이 시각(AI)자동화 플랫폼을 통해 인간과 기계의 협업을 재정의한다”라는 설명이 나와 있어요.

 

2025년 10월 28일 /PRNewswire/ 한국의 AI 자동화 기업인 INFOFLA는 오늘 자사의 주력 플랫폼인 Selto의 소비자 버전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No‑code AI 플랫폼의 개념 자체가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드래그앤드롭, 또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마법사(Wizard)를 통해 AI 모델을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다”는 정의로 자주 등장합니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직관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 No‑code 기반의 Vision AI 적용하면 일이 어떻게 쉬워질까? 

1) 의류매장 예시 

  • 문제 : 진열대에서 옷이 무너지거나 고객이 옷을 꺼낸 뒤 방치
  • 기존 방식: 직원이 CCTV 감시, 불규칙한 정리 주기
  • No-code AI 도입: 매장 사진 몇 장 업로드 → '정상/문제 상황' 표시 → AI가 학습 후 실시간 감지 시스템 구축
  • 결과: 깔끔한 매장 유지, 고객 만족도 상승, 인건비 절감

제품 검수과정이 자동 기록, 검수 됩니다.
의류매장 예시

2) 도시락 공장 예시 

  • 문제 : 도시락에 반찬이 빠지거나, 과하게 들어가는 실수가 반복
  • 기존 방식: 사람이 일일이 확인하거나, 고가의 AI 시스템 도입 필요
  • No-code AI 도입

      : 공장 직원이 AI 플랫폼에 이미지를 몇 장 올리고 "정상/이상" 표시만 하면, 몇 분 만에 '자동 반찬 누락 감지' AI 모델 생성

  • 결과: 실시간 CCTV 분석, 오류 도시락 자동 분류, 불량률 감소

식품 검수가 쉬워집니다
도시락 공장 예

이처럼 개발자가 없어도, AI 엔지니어 없이도,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AI를 만드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그 비결은 무엇일까요?

 

3. No-code Vision AI의 기술 구조

  • 이미지 업로드: 사람이 직접 찍은 사진 몇 장이면 충분
  • 드래그 & 드롭 인터페이스: 복잡한 코드 없이, 마우스로 영역 설정, 레이블 지정
  • 자동 학습 모델: 백엔드에서 AI가 자동으로 학습 (사전 훈련된 AI 모델 기반)
  • 배포까지 원클릭: 클라우드 or 엣지 디바이스로 바로 배포 가능

플랫폼 예시: 인포플라(Infopla), Landing AI, Amazon Lookout for Vision 등

 

4. 비용과 속도에서의 차이

항목 기존 AI 구축 No-code Vision AI
개발 기간 수주~수개월 1시간~1일
개발자 필요 여부 필수 (AI/ML 전문가) 없음
유지보수 외주 또는 인하우스 개발팀 필요 비개발자도 가능
도입 비용 수천~수억원 수십~수백만원 수준

 

5. 실제 적용을 고려 중이라면 체크해야 할 것들

  • 어떤 문제를 AI로 자동화하고 싶은가?
  • 이미지나 영상 기반으로 판단 가능한 문제인가?
  • 현장에 CCTV, 카메라 등 인프라가 갖춰져 있는가?
  • 정기적으로 데이터(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는가?

https://koreacommonsense.tistory.com/170

 

50대 이상 창업 실패율 증가[50대이상 자영업자 정부지원 성공 전략]

50대 이상 고령층 창업이 늘어나고 있지만, 매출 저하·부채 증가·디지털 격차라는 3중고에 빠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교육 지원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배우지 않아도 쓸 수

krdotsense.com

https://koreacommonsense.tistory.com/178

 

퇴직 후 자영업, 망하지 않으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퇴직 후 자영업, 과연 기회일까?2025년 현재 한국의 자영업 증가는 창업 열풍이 아니라 무너진 고용시장의 반영이다.60대 이상 자영업자 비율은 37%를 넘었고, 생계형 창업은 높은 부채와 폐업률로

krdotsense.com

 

https://koreacommonsense.tistory.com/225

 

한국 AI 국가 전략 계획 발표 [한국 AI 수준 vs 중국·아일랜드 인프라·정책 비교]

한국 정부는 AI를 미래 전략 산업으로 삼고 여러 정책과 투자를 발표했지만, 업계에서는 “인프라·실행력·제도 간 균형” 측면에서 격차가 크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AI정책이 뒤

krdotsense.com

https://koreacommonsense.tistory.com/241

 

아직도 의사? 중국 인재들은 AI 전공으로 몰린다 — 한국 학생들이 놓치고 있는 진짜 미래

AI가 의료 현장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가운데, 의사의 역할 역시 재정의되고 있습니다. 인간만이 수행할 수 있는 윤리적 판단과 환자와의 정서적 교감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영상 판독·진단 보조

krdotsens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