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9. 30. 05:05ㆍ알고보면 쓸모있는 [쉬운 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기이한 무역 구상을 꺼내 들었다. 이번엔 영화다. 해외에서 제작된 영화에 대해 무려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이다. 표면적으로는 미국 영화 산업 보호를 위함이라지만, 현실을 전혀 모르고 하는 발언이다. 이건 보호가 아니라 고립이다. 트럼프는 할리우드를 살리려 한다지만, 이 방식은 오히려 문화 산업 전반을 질식시키는 자충수에 가깝다.
스트리밍이 지배하는 시대에, '영화 = 물건'이라는 전제로 관세를 매기겠다는 시도 자체가 무지의 소산이다. 영화는 더 이상 필름 통에 담겨 국경을 넘지 않는다. 디지털로 전송되고, 글로벌 협업으로 제작되며, 플랫폼을 타고 전 세계에 동시에 풀린다. 할리우드조차도 해외 로케이션, 외주 후반작업, 글로벌 인력 없이는 작품 하나 완성하기 어렵다. 이런 영화에 어떻게 ‘제조국’을 정하고 관세를 부과한단 말인가.
게다가 미국 영화 제작사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해외 스튜디오를 활용하는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캐나다, 뉴질랜드, 체코, 한국까지 — 세제 혜택과 우수한 인프라를 이유로 세계 각지에서 제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에 100% 관세를 매기면 누가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을까? 바로 미국 자본으로 만들어진 영화다. 자국 산업에 자국이 관세를 매기는 꼴이다.
이 관세는 전형적인 트럼프식 ‘권력 과시형 정책’이다. ‘영화 산업이 외국에 도둑맞았다’는 감정적 표현과 함께, 사실상 할리우드조차 트럼프의 정책 틀 안에 두겠다는 선언이다. 메시지의 통제, 문화의 정치화 — 그 방향성은 위험하다. 영화는 정치 선전물이 아니다. 산업이자 예술이며, 글로벌 소통의 매개체다.
그리고 이 관세가 현실화된다고 해보자. 그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다. 트럼프는 강경 무역 정책에도 일관성이 있었고, 일부 미국 기업들은 그 틀 안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수정해 왔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트럼프니까’ 가능한 일이다. 다음 정권이 들어서면 얄짤 없다. 트럼프식 관세 정책은 한 철 장마처럼 걷힐 것이다. 그리고 그 후폭풍은 오히려 ‘트럼프에 맞춰 적응한 기업’에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트럼프는 미국의 마지막 패를 들고 흔들고 있다.
관세 이후의 다른 패가 미국에 있을까?
이제 확신이 든다. 없나보다.
미국 외의 세계는 더는 이기적인 초강대국의 일방적 정책을 눈감아주지 않는다. 보복 관세, 문화 수출 규제, 공동 제작 철회 — 할리우드가 잃는 것은 단지 ‘해외 촬영지’가 아니다. 그것은 전 세계와 쌓아온 창작 파트너십, 시장, 그리고 신뢰다.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은 단순한 농담이 아니다. 그것은 미국이 세계 문화의 중심에서 물러나겠다는 자기 파괴적 선언이다. 국제 문화 질서에 대한 몰이해, 기술 흐름에 대한 시대착오, 무역을 정치로만 보는 단견. 이 셋이 합쳐지면, 영화는 관세 대상이 아닌 희생양이 된다.
2025년에 비디오 테이프를 틀자는 발상인건가? 그 끝에는 웃음도, 예술도, 자유도 없다.
'알고보면 쓸모있는 [쉬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낙서 징역 8년! [문화재 훼손하면 실제 형량은? ] (0) | 2025.09.30 |
---|---|
백종원, 좋았던 기억, 흔들리는 이미지, 비판 받는 이유와 여전히 남은 신뢰 (2) | 2025.09.29 |
"민폐톡 됐다” 카카오톡 업데이트, 누구야? 누가 만들었어! (0) | 2025.09.29 |
해외여행 중 수하물 분실 시 대처법 총정리: 분실 보상 여행자 보험, 신용 카드 발급 등 완벽 대응 가이드 (1) | 2025.09.29 |
[경추 시리즈 최종] 경추 두통 내가 써 본 모든 민간 요법, 병원 치료 방법 (0)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