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쓸모있는 [쉬운 경제]

ChatGPT SORA 이미지 생성, 왜 느릴까? 서버·GPU·요금제별 차이 총정리

korea dot sense 2025. 8. 24. 15:29
반응형

ChatGPT SORA 이미지 생성, 왜 이렇게 느릴까?

AI 영상·이미지 생성의 혁신이라 불리는 OpenAI SORA. 하지만 직접 사용해본 분들은 공통적으로 말합니다. “속도가 너무 느리다”, “중간에 멈춰버린다”는 경험담이죠.

저 역시 GPU 16GB, RAM 32GB, SSD 1TB의 새 컴퓨터를 쓰고 있습니다. 사실 내 PC 성능은 문제가 아닙니다.

왜 항상 느린가?

1. 글로벌 트래픽과 서버 대기열

SORA는 전 세계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는 서비스입니다. 한국에서 새벽 시간대에 접속한다고 해서 속도가 빨라지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미국, 유럽, 인도 등지에서는 한창 활동 시간이라 여전히 서버가 붐빕니다. 결국 사용자 폭주 → 서버 대기열 증가 → 처리 지연·멈춤이라는 흐름이 반복되는 구조입니다. SORA는 내 PC에서 직접 이미지를 계산하는 방식이 아니라, OpenAI의 클라우드 서버에서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개인이 아무리 고성능 GPU나 SSD를 보유하고 있어도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모든 결과물은 서버에서 생성된 뒤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느림 현상은 서버 상황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2. 무료 계정 리소스 제한

OpenAI는 무료 계정과 유료 계정에 서로 다른 GPU 자원을 배정합니다. 무료 사용자는 낮은 우선순위 GPU 서버를 쓰기 때문에 항상 대기열에 밀리고, 속도 역시 일정하게 제한됩니다. OpenAI는 무료 사용자와 유료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GPU 자원을 배정합니다. 무료 계정의 경우 낮은 우선순위 서버를 할당받기 때문에, 대기 시간이 길거나 처리 속도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서버 자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료 이미지·영상 생성 횟수를 대폭 줄였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3. 모델 자체 구조적 무거움

SORA는 단순 이미지 생성이 아니라, 텍스트 → 장면 해석 → 프레임 합성을 거쳐 영상을 만듭니다. 한 번 생성할 때마다 막대한 GPU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속도가 빠를 수 없는 구조입니다. 해상도를 낮추더라도 속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로컬 연산이 아니라 서버 자원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4. 전 세계 사용자 폭주

SORA는 글로벌 서비스를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새벽 시간에 접속하더라도 미국, 유럽, 인도 등 다른 지역에서는 낮 시간대라 이용자가 폭주합니다. 결국 전 세계적으로 서버 부하가 분산되지 않으면서 언제 사용하든지 속도가 일정하게 느릴 수밖에 없습니다.

 

5. 해상도·길이와 무관한 속도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해상도를 낮추면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는 속도가 해상도보다 모델 단계 수(num steps)와 서버 자원 할당량에 더 크게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해상도를 낮추면 멈춤이나 실패 가능성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6. 보완 및 정리

SORA 이미지 생성 중

 

  1. 짧은 길이로 나누어 생성하기
    긴 영상 대신 3~5초 단위로 나누어 생성하고, 이후 편집 프로그램으로 이어 붙이면 안정성이 올라갑니다.
  2. 프레임 수(FPS) 줄이기
    24fps 대신 12fps로 생성하면 속도가 절반 정도 빨라집니다. 품질은 후편집에서 보완할 수 있습니다.
  3. 유료·우선순위 계정 활용
    무료 계정보다는 유료 계정에서 GPU 자원이 더 우선 배정됩니다. 꾸준히 사용할 계획이라면 유료 전환이 체감 속도를 높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4. 생성 후 업스케일링 활용
    처음부터 4K를 생성하기보다는 720p나 1080p로 빠르게 생성한 뒤, Topaz Video AI, DaVinci Resolve 같은 툴로 업스케일링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내 PC 성능, SSD 용량, 실패 이미지 삭제와 같은 요소는 SORA 속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속도가 느린 진짜 이유는 글로벌 트래픽, 무료 계정 리소스 제한, 모델 구조적 무거움에 있습니다.
  • 해상도와는 직접적 상관이 없으며, 결국 서버 자원 할당과 대기열 문제가 근본 원인입니다.
  • 현실적인 대처법은 짧은 단위로 생성하기, FPS 줄이기, 유료 계정 활용, 업스케일링입니다.

결국 속도를 바꾸려면 내 컴퓨터가 아니라 OpenAI의 서버 정책에 달려 있습니다. 다만 위와 같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대기 시간을 줄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SOR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