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당했는데, 내 계좌도 압수될까?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했다고 해서 내 계좌가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금융기관은 피해자 여부가 아니라 ‘거래 패턴’을 기준으로 사기 의심 계좌를 즉시 지급정지할 수 있으며, 수사기관은 자금흐름 전체를 일괄 추적하기 때문에 피해자 계좌도 압수·조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법 개정으로 사기이용계좌 차단 규제가 강화되면서, 피해자 계좌라 하더라도 빠르게 잠기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를 통해 왜 계좌가 정지되는지, 어떤 조건에서 압수될 수 있는지, 그리고 피해자가 어떻게 빠르게 계좌를 정상화하고 환급·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1. 사례로 보는 현실 “보이스피싱 피해자인데 제 계좌가 왜 막히나요?”

사례 1
A씨는 보이스피싱으로 300만원을 잃고 바로 신고했습니다. 그런데 다음 날 은행에서 “고객님 계좌가 지급정지되었습니다”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월세 자동이체는 실패하고, 카드 결제가 모두 차단되며, 생활비도 인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A씨 계좌가 사기 이체의 ‘출발점’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입니다. 피해자라도 자금 흐름상 출발점으로 보이면 금융사는 계좌를 정지할 수 있습니다.
사례 2
B씨는 모르는 은행에서 “귀하의 계좌가 사기이용계좌로 지급정지되었습니다”라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확인해보니 보이스피싱 조직이 B씨 명의를 도용해 비대면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만든 것이었습니다. 본인은 피해자인데도 계좌는 바로 정지되고, 거래내역이 압수되고, 수사기관 추적 대상까지 되었습니다.
사례 3
C씨는 친구 사칭 문자에 속아 200만원을 이체했습니다. 몇 시간 뒤 신고했지만, 며칠 후 은행에서 “고객님 계좌도 압류·추적 대상입니다”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보이스피싱은 자금 흐름 전체를 추적하기 때문에, 범죄자 계좌로 흘러간 돈이 C씨 계좌에서 출발했다는 이유로 수사기관이 계좌를 압수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사례는 모두 공통된 결론을 보여줍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도 계좌가 정지·압수될 수 있는 구조입니다.
2. 왜 피해자 계좌도 지급정지·압수될까? (금융법 구조 설명)
① 금융사는 피해 여부가 아니라 ‘거래 패턴’을 먼저 봅니다
보이스피싱 신고가 접수되기 전까지 은행은
- 피해자
- 피의자
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비정상 거래 패턴이 보이면 일단 계좌부터 막습니다.
피해자 계좌라도 ‘출발점 계좌’로 표시되면 지급정지가 자동으로 걸릴 수 있습니다.
② 수사기관은 자금 흐름 전체 계좌를 일괄 압수·조회합니다
보이스피싱 사건은 단일 계좌가 아니라
A → B → C → 범죄조직 계좌
이렇게 연결된 전체 흐름을 한 번에 추적합니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의 계좌도 압수·내역열람·잔액동결 대상이 됩니다.
③ 명의도용 계좌는 본인도 모르게 대포통장이 됩니다
비대면 계좌가 늘면서 명의도용이 쉽게 일어나며,
내가 만들지도 않은 계좌가 범죄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금융사는 명의자 여부가 아니라 범죄 이용 여부를 기준으로 즉시 계좌를 정지합니다.
④ 최근 법 개정으로 지급정지 속도가 훨씬 빨라졌습니다
2024~2025년 금융 관련 시행령 개정으로
- 비대면 계좌
- 여신전문금융회사 계좌
- 대부업 계좌
까지 사기이용계좌 감시가 강화되었습니다.
즉, 피해자 계좌라도 ‘이상 거래 패턴’이 발견되면 정지 속도가 더 빨라진 구조가 되었습니다.
3. 내 계좌가 실제로 정지되거나 압수되는 조건
최근 금융사 책임 확대 정책으로 본인확인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계좌가 자동 차단됩니다.

4. 내 계좌가 정지되면 어떻게 풀어야 할까?
① 즉시 은행 방문 후 피해자 진술서 제출
은행은 피해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권한이 없어
피해자임을 입증해야 계좌 정지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필요 서류입니다.
- 피해 내용 진술서
- 경찰 신고 접수증
- 송금 내역·문자·통화기록
- 피해 금액과 피해 시간 기록
② 경찰서 신고 후 ‘사건번호’를 은행에 제출
사건번호는 계좌 해제의 결정적 근거입니다.
은행은 사건번호 제출 시 피해자로 분류하고 정지 해제를 검토합니다.
③ 은행과 수사기관을 동시에 진행해야 합니다
계좌 정지는 금융사 시스템과 수사기관 절차가 함께 얽혀 있기 때문에
둘 다 처리해야 정상화가 빨라집니다.
④ 계좌 정상화까지 걸리는 실제 기간
- 단순 모니터링 정지: 1~3일
- 수상 거래 포함 정지: 1주~4주
- 수사기관 압류·추적 포함: 2주~6주
- 명의도용 계좌: 1~2개월 이상
5. 피해자 보상 절차도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
✔ 1) 지급정지·환급 신청
범죄조직 계좌에 잔액이 남아 있으면 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 2) 금융사 과실이 있을 경우 배상 청구
최근에는 금융사가 본인확인·모니터링을 소홀히 한 경우
일부 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 3) 통신사기환급법에 따른 환급 절차
금융기관 통해 환급심사 → 지급까지 이어지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했다고 해서 내 계좌가 자동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금융기관은 ‘피해자 여부’가 아니라 ‘거래 패턴’을 기준으로 지급정지를 걸고,
수사기관은 사건 해결을 위해 자금 흐름 전체를 압수·추적하기 때문에
피해자 계좌도 얼마든지 정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신고 속도와 증빙 준비가 빠를수록 계좌 정상화는 훨씬 빨라집니다.
즉,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가장 중요한 대응은
→ 즉시 신고
→ 은행 제출자료 준비
→ 사건번호 확보
입니다.
빠르게 대응한다면 계좌 해제뿐 아니라 피해금 환급 및 금융사 배상 가능성까지 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