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정하기 전 필독 [사건,사고, 범죄율 높은 해외여행 위험 국가]
2025년 들어 세계는 정치적 혼란, 범죄, 자연재해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치안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여행을 계획할 때는 단순 관광정보보다 위험유형별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0404.go.kr)에서 최신 경보를 확인하고, 현지 비상연락망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 해외 안전의 출발점입니다.
① 사회·이념형 위험국가
(정치·사상·종교·테러·법적 충돌 관련)
세계 곳곳에서는 정치 불안과 종교 갈등으로 인해 여행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사례가 끊이지 않습니다. 특히 중동과 아프리카 일부 국가는 무장단체의 활동과 종교적 긴장이 동시에 높아 외국인에 대한 무력 행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종교적 이유로 복장이나 행동이 문제 되는 사례도 많으며, 정치적 시위 참여로 외국인이 구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행 전 반드시 현지 법규를 숙지하고, 종교·정치 관련 발언은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나라 | 주요 위험 요인 | 안전 수칙 | 비상 연락망 |
이란 | 반정부 시위, 복장 규제, 외국인 체포 | 여성 복장 단속 주의, 정치·종교 대화 자제 | 주이란 대한민국 대사관 ☎ +98-912-365-1021 |
이스라엘·레바논 국경 | 무력 충돌, 미사일 공격 | 국경 접근 금지, 대피소 위치 숙지 |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콜센터 ☎ +82-2-3210-0404 |
시리아 / 예멘 / 아프가니스탄 | 내전, 테러단체 활동 | 여행금지 지역, 접근 불가 | 외교부 비상콜센터 ☎ +82-2-3210-0404 |
사우디아라비아 | 엄격한 이슬람 율법 | 공개 애정행위·음주 금지, 현지 법 존중 | 주사우디 대한민국 대사관 ☎ +966-11-488-2211 |
미얀마 | 군사 쿠데타, 시위 | 야간 이동 금지, 집회 접근 금지 | 주미얀마 대한민국 대사관 ☎ +95-9-4200-12853 |
② 범죄·치안형 위험국가
(납치, 사기, 총기, 폭력 범죄 관련)
범죄와 치안 불안은 여행자가 가장 직접적으로 체감하는 위험입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남미 지역은 관광객을 노린 범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는 조직범죄가 일상화되어 있습니다. 캄보디아에서는 한국인을 상대로 한 납치와 감금 사건이 급증했고, 브라질·멕시코 등은 도시 중심에서도 강도·절도가 빈번합니다. 미국 일부 주에서는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여행 전에는 반드시 숙소 안전을 확인하고, 모르는 사람의 제안을 피하며, 대사관 연락처를 메모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나라 | 주요 위험 요인 | 안전 수칙 | 비상 연락망 |
캄보디아 |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사기 | 모르는 사람 제안 거절, 야간 외출 자제 | 주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 +855-12-878-901 |
브라질 | 강도, 절도, 차량 납치 | 고가품 착용 자제, ATM 사용 주의 | 주브라질 대한민국 대사관 ☎ +55-61-99995-0563 |
남아프리카공화국 | 강도·총기·차량 절도 | 외곽 이동 시 차량 문 잠금 | 주남아공 대한민국 대사관 ☎ +27-82-467-1803 |
자메이카 | 폭력범죄, 조직 간 충돌 | 슬럼가·야간 클럽 출입 금지 | 주쿠바 대한민국 대사관(겸임) ☎ +53-5-279-1393 |
미국 일부 주(텍사스 등) | 총기 난사, 강도 | 군중 행사 피하기 | 미국 내 긴급전화 911 |
③ 환경·보건형 위험국가
(자연재해, 질병, 의료 인프라 부족 관련)
자연재해와 의료 인프라 부족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치명적입니다. 필리핀 세부에서 발생한 지진은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2025년 9월 30일, 세부 북부 해역에서 규모 6.9의 강진이 발생하여 70여 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했습니다. 관광지로 알려진 세부에서도 건물이 붕괴되고 전력과 통신이 마비되며, 공항 운영이 일시 중단되었습니다. 이처럼 평소 지진이 드물던 지역에서도 대형 재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행 전 내진 구조 숙소를 선택하고, 비상구와 대피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나라 | 주요 위험 요인 | 안전 수칙 | 비상 연락망 |
필리핀(세부) | 규모 6.9 지진, 여진·정전·통신 두절 | 내진 숙소 선택, 대피경로 숙지 |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 +63-917-817-5703 |
인도네시아 | 화산·쓰나미·지진 | 재난경보 앱 설치, 해안 숙소 시 대피경로 확인 | 주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 +62-812-8223-484 |
네팔 | 지진·산사태 | 고산병 대비, 트레킹 시 가이드 동행 | 주네팔 대한민국 대사관 ☎ +977-98510-58881 |
콩고민주공화국 | 에볼라, 말라리아 | 예방접종·모기장 필수, 생수만 섭취 | 주콩고대사관 ☎ +243-81-555-4811 |
나이지리아 | 전염병·치안 혼합 위험 | 의료시설 사전 확인, 식수 주의 | 주나이지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 +234-80-3400-4506 |
파푸아뉴기니 | 의료 인프라 부족 | 여행 전 건강보험 필수 가입 | 주파푸아뉴기니 대한민국 대사관 ☎ +675-7200-0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