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쓸모있는 [쉬운 경제]
폭발물 팩스 한 장으로 대피 소동… 협박으로 부터 학교가 ‘살아남는 법’
korea dot sense
2025. 8. 30. 19:19
반응형
서울, 인천, 부산 고교에서 ‘폭발물 설치’ 협박 팩스가 연이어 접수되며 학생들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습니다.</strong> 다행히 실제 폭발물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반복되는 허위 협박이 초래한 불안과 사회적 비용은 막대합니다.
1. 실제 사건들 요약
- 서울 고교 7곳: 일본인 변호사 사칭 팩스로 ‘폭파 협박’ → 전교생 귀가 조치
- 인천 고교 2곳: “오후 1시 34분 폭탄 터진다” 팩스, 학생 대피 조치
- 부산 고교 2곳: “압력솥 폭탄” 협박, 500명 대피, 특공대 수색
- 중학생의 몰 카운트 유사 협박: 신세계·롯데 등 다수 인파 밀집 장소 협박으로 혼란 발생
2. 학교 협박 상황, 가장 먼저 해야 할 3단계
- 즉시 대피 – 생명 보호 최우선
모든 형태의 협박(팩스, 이메일, SNS)에 대해 '진짜일 수도 있다'는 전제로 행동. 학생 안전 확보 최우선입니다. - 신고 & 현장 통제
112 및 119에 즉시 신고 → 경찰 폭발물 처리반 요청. 동시에 학교 외부 접근 차단 및 통제 실행. - 정보 수집 및 기록
협박 팩스 원본, 이메일 캡처, 협박 시각, CCTV 및 네트워크 로그 등 모든 자료 확보하여 경찰에 제공.
3. 왜 기존 절차는 현실에선 위험한가?
문제 상황 | 기존 대응 방식 | 현실 문제점 |
시간 지연 | 교육청·상급기관 먼저 보고 | 인명 피해 가능성 있는 대책 지연 |
판단 책임 회피 | 매뉴얼 부재로 현장 즉각 판단 어려움 | 교사 중심 대응 어려움 |
기관 간 혼선 | 일괄 매뉴얼 없음 | 교육청·경찰 등 간 협업 체계 작동 불가 |
4. 처벌 수위 및 법적 대응 근거
- 공중협박죄: 2025년 도입된 법으로, 허위 협박 시 최대 징역 5년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 처벌
- 실제 사례에서는 벌금 600만원 선고된 경우도 있어, 처벌 수위가 크지 않다는 지적 있음
5. 소비자를 위한 현실적 대응 가이드
- 매뉴얼 중심 콘텐츠 광고 유리 포인트
위기대응 앱, 보안 시스템, 심리 상담 서비스, 법률 상담 플랫폼 연계 유리 - 작은 실천이 안전의 시작
한 줄의 협박 메시지가 학교를 멈추게 한 이 시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빠른 행동은 ‘곧장 대피하고 신고하고 기록하는 것’입니다.
반응형